4월, 2010의 게시물 표시

두만강과 압록강 접경지역을 다녀오다.

이미지
TOPIK 에서는 지난 2009년 5월 11일(월)부터 18일(월)까지 7박 8일의 일정으로 두만강과 압록강 접경지역을 방문하고 돌아왔다. 이번 방문사업은 경색일로의 남북관계 속에서 평화감수성 증진을 위한 평화기행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대북 인도적지원사업을 위한 새로운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번 방문에는 TOPIK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상윤 신부, 임병규 위원 그리고 김현호 신부가 참여하였다. 1. 북한을 한 바퀴 도는 순례의 여정 : 이 땅의 반쪽이라 할 수 있는 북한을 한 바퀴 도는 기회가 되었다. 서울->속초->자루비노(러시아)->훈춘(중국)->연길(조선족자치구)->용정->두만강변->백두산->이도백하->통화->집안(궁내성)->압록강변->단동->인천->서울로 이어지는 여정으로 북한을 외곽에서 한 바퀴 돈 셈이다. 북한을 외곽에서 한 바퀴를 도는 동안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다. 한국사람들, 러시아사람들, 중국 한족들, 중국 조선족들, 북한사람들을 만났다. 이들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땅이 바로 우리가 살아가는 이 땅의 실체였다. 2. 연해주, 한인들의 숨결과 한(恨)이 느껴지는 곳을 밟다. 1858년, 지금으로부터 146년 전 아이훈(愛暉)조약 이후 1860년대를 거쳐 오면서 시작된 한인들의 연해주 이주는 1902년 한인들의 이민자 수는 32,380명, 1914년 한인 교민수 6만3천여 명, 1923년 재소(在蘇)한인 공식 10만여 명 실제는 25만 명이상이 거주하였다. 그러나 1937년 9월 21일 스탈린의 원동변경지역 고려인 이주에 관한 일급비밀지령에 따라 중앙아시아(6천km)로 강제 이주된다. 1860년대에 연해주로 이주한 초기의 한인들은 대부분 함경도지역 출신이었다. 1880년도부터는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이들은 순전히 배가 고파 먹고 살기위하여 새로운 삶을 찾아 나선 농업개척자이기도 하였다. 두만강을 건너 제일먼저 정착한 곳이 지금의 단강(丹江:

ACFF/KCFA Conference에 참여하고 돌아와

이미지
2009년 5월 7일(목) 연세대학교 루스채플에서 진행된 ACFF/KCFA Conference에 참여하였다. 이번 컨퍼런스의 주제는 '다양한 아시아에서 평화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 Teaching Peace in the Plural Asia) 에 관한 것이었다. 아시아의 신학자들이 모여 아시아의 다양성을 함께 이해하고 평화를 향해 무엇을 교육해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아주 짧은 시간동안 참여하였지만, 발표자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느낀 바를 옮겨보고자 한다. 그 리스도교 교육에 있어서 핵심은 우리들이 어떻게 '하느님의 형상'(Image of God)을 깨닫고 살아가느냐에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실에서의 교육은 이와 무관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던져진 질문은 "구조적인 폭력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하느님의 형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다양한 문화, 다양한 삶의 방식이 공존하고 있는 아시아에서 하느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일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느님의 형상 은 하나일 수없다. 전형화 된 그 무엇으로 절대화할 수 없다. 절대화하는 순간 갈등과 폭력이 발생하게 된다. 적어도 아시아와 같이 다양한 삶의 방식이 공존하고 있는 곳에서는 말이다. 하느님의 형상을 바벨탑과 동일시해서는 안된다. 아시아에서의 다양성은 그 자체가 하느님의 축복이다. 다양성을 포용하는 삶의 방식에서 하느님의 형상은 드러날 것이고 이것이야말로 곧 평화의 길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