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과 압록강 접경지역을 다녀오다.

TOPIK 에서는 지난 2009년 5월 11일(월)부터 18일(월)까지 7박 8일의 일정으로 두만강과 압록강 접경지역을 방문하고 돌아왔다. 이번 방문사업은 경색일로의 남북관계 속에서 평화감수성 증진을 위한 평화기행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대북 인도적지원사업을 위한 새로운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번 방문에는 TOPIK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상윤 신부, 임병규 위원 그리고 김현호 신부가 참여하였다. 1. 북한을 한 바퀴 도는 순례의 여정 : 이 땅의 반쪽이라 할 수 있는 북한을 한 바퀴 도는 기회가 되었다. 서울->속초->자루비노(러시아)->훈춘(중국)->연길(조선족자치구)->용정->두만강변->백두산->이도백하->통화->집안(궁내성)->압록강변->단동->인천->서울로 이어지는 여정으로 북한을 외곽에서 한 바퀴 돈 셈이다. 북한을 외곽에서 한 바퀴를 도는 동안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다. 한국사람들, 러시아사람들, 중국 한족들, 중국 조선족들, 북한사람들을 만났다. 이들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땅이 바로 우리가 살아가는 이 땅의 실체였다. 2. 연해주, 한인들의 숨결과 한(恨)이 느껴지는 곳을 밟다. 1858년, 지금으로부터 146년 전 아이훈(愛暉)조약 이후 1860년대를 거쳐 오면서 시작된 한인들의 연해주 이주는 1902년 한인들의 이민자 수는 32,380명, 1914년 한인 교민수 6만3천여 명, 1923년 재소(在蘇)한인 공식 10만여 명 실제는 25만 명이상이 거주하였다. 그러나 1937년 9월 21일 스탈린의 원동변경지역 고려인 이주에 관한 일급비밀지령에 따라 중앙아시아(6천km)로 강제 이주된다. 1860년대에 연해주로 이주한 초기의 한인들은 대부분 함경도지역 출신이었다. 1880년도부터는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이들은 순전히 배가 고파 먹고 살기위하여 새로운 삶을 찾아 나선 농업개척자이기도 하였다. 두만강을 건너 제일먼저 정착한 곳이 지금의 단강(丹江:...